Rebeka letter

한국 식당 문화 완벽 가이드: 주문 & 계산 꿀팁 + 식사 예절 마스터!

  • 작성 언어: 한국어
  • 기준국가: 대한민국country-flag
  • 음식

작성: 2025-02-11

업데이트: 2025-02-11

작성: 2025-02-11 14:01

업데이트: 2025-02-11 14:06

한국 식당에서의 주문과 계산 문화는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주문 문화

  • 음식 나눠 먹기 : 한국에서는 여러 명이 함께 음식을 나누어 먹는 문화가 흔합니다. 특히, 한식당에서는 반찬과 주요리 모두 나누어 먹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종종 메뉴를 여러 가지 시키고 테이블 중앙에 올려두어 함께 나누어 먹습니다.
한국 식당 문화 완벽 가이드: 주문 & 계산 꿀팁 + 식사 예절 마스터!

한식 상차림 중 하나

💳 계산 문화

  • 결제 방법 : 손님이 직접 결제 카운터로 가서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식사한 자리에서 카드를 주고 직원이 계산해오는 경우는 고급 레스토랑이나 외국 계열 패밀리 레스토랑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현금과 카드 모두 널리 사용됩니다. 일부 식당(재래시장, 길거리 음식)에서는 현금 결제를 선호하지만, 신용카드를 거절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한국 식당 문화 완벽 가이드: 주문 & 계산 꿀팁 + 식사 예절 마스터!

출처: 매일신문


  • 팁 문화 : 한국에서는 팁을 주는 문화가 거의 없으며, 팁을 주는 것을 오히려 불편해할 수 있습니다. 팁을 주고 싶다면 일반적으로 "잔돈은 됐습니다."라고 말합니다.
한국 식당 문화 완벽 가이드: 주문 & 계산 꿀팁 + 식사 예절 마스터!

게티이미지

  • 셀프 계산 시스템 : 일부 식당에서는 셀프 계산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지만, 아직은 드뭅니다. 다만, 키오스크 주문 (선불 방식)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한국 식당 문화 완벽 가이드: 주문 & 계산 꿀팁 + 식사 예절 마스터!

셀프 결제가 햄버거 프랜차이즈나 분식점을 넘어 고깃집·쌈밥집 같은 일반 음식점으로도 확산하고 있다. 적은 인원으로 식당을 운영할 수 있어 인건비 부담과 구인난을 겪는 식당들이 셀프 결제를 속속 도입하는 것이다. 사진은 경기도 부천의 한 쌈밥집 테이블에 설치된 태블릿형 셀프 결제기 모습. /브이디컴퍼니

기타 특징

  • 식사 예절 : 한국에서는 연장자가 먼저 식사를 시작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또한, 식탁에 앉으면 종이 냅킨을 깔고 수저를 놓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이는 상대방이 깨끗한 수저와 젓가락을 사용하도록 배려하는 차원의 행동입니다. 주영하 교수(한국학중앙연구원)의 분석은 흥미롭습니다. 음식인문학자인 그는 “냅킨 깔기는 부대 물품을 간소화한 업주들의 수익성 추구와 손님들의 ‘기분 위생학’이 어우러진 결과”란 의견을 제시합니다. 손님이 몰리는 시간 행주로 대충 훔친 식탁은 못 미덥기 때문입니다. 화학적 처리가 된 생산품은 위생적일 것이란 한국인의 근대적 계몽정신이 더해지며 냅킨 깔기는 일종의 관습으로 자리 잡았다는 분석입니다.
한국 식당 문화 완벽 가이드: 주문 & 계산 꿀팁 + 식사 예절 마스터!

한국에선 보편화된 종이 냅킨 깔기

한국의 식당에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예절 문화는 주로 유교 전통과 관련이 깊습니다.


1. 연장자 우선
◽ 가족이나 손님과 식사할 때는 먼저 웃어른이 수저를 든 후 식사를 시작합니다.
◽ 손님과의 식사에서도 웃어른이 수저를 들고 권할 때까지 기다립니다.


2. 수저 사용 예절
◽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쥐지 않습니다.
◽ 수저를 그릇에 부딪쳐 소리 내지 않도록 합니다.
숟가락을 밥에 꽂아 놓지 않습니다. 

💬 이는 주로 제사와 관련된 관습 때문입니다.
제사는 조상이나 돌아가신 이에게 음식을 바치는 의식으로,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밥이나 반찬에 세워놓는 것은 그들을 위해 음식을 준비하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따라서, 일상 식사에서는 이러한 행동이 무례하거나 모욕적인 것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한국 식당 문화 완벽 가이드: 주문 & 계산 꿀팁 + 식사 예절 마스터!

한국의 제사 문화 (출처: 영주시민신문)


3. 식사 중 기본 예절
◽ 음식이 묻은 수저를 여럿이 먹는 음식에 넣지 않습니다.
◽ 식사 중 소리를 크게 내지 않습니다.
◽ 밥이나 반찬을 뒤적이며 먹지 않습니다.
◽ 반찬의 양념을 털어내거나 골라내지 않습니다.

💬 소란스럽고 무례한 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특히 공동 식사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 국은 그릇째 들고 마시지 않습니다.

💬 한국의 식사 문화는 유교적 가치관과 관련이 깊으며, 이는 개인 간의 존중과 예의를 강조합니다.
국을 그릇째 마시는 행동은 자제와 절제가 부족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가치 중 하나입니다.

이와는 달리, 일본에서는 밥그릇을 들고 먹는 것이 예의로 여겨지며, 국도 그릇째 마시는 문화가 존재합니다.
한국과 일본의 식사 문화가 서로 다른 전통과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4. 식사 후 예절
◽ 웃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나면 수저를 상에 내려놓지 않고, 밥그릇에 얹어두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나면 그때 상 위에 내려놓습니다.
◽ 식사가 끝나면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습니다.


5. 기타 예절
◽ 식사 중 다리를 포개거나, 손으로 얼굴이나 머리를 만지거나, 팔꿈치를 세우는 행동은 하지 않습니다.
◽ 재채기나 기침이 나올 때에는 얼굴을 옆으로 돌려 손이나 손수건으로 입을 가립니다.
◽ 코를 풀거나 가래를 뱉는 행동은 최대한 식탁에서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