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beka letter

특목자사고, 여전히 뜨겁다! 2024 의대 합격률 TOP10 고등학교 분석

  • 작성 언어: 한국어
  • 기준국가: 대한민국country-flag
  • 기타

작성: 2025-01-03

작성: 2025-01-03 09:49

특목고 입시를 주로 하는 하늘교육이 주최하는

초 중 학부모 대상으로 국제중, 특목 자사고, 영재학교 유불리 전망 및 대입, 고입 전략 설명회가 있었습니다.

안산, 목동, 성남, 세종, 대전, 대구 등에서 약 한 달에 걸쳐 진행됐는데

가장 처음에 진행했던 안산 설명회를 다녀왔습니다.

특목자사고, 여전히 뜨겁다! 2024 의대 합격률 TOP10 고등학교 분석

2024년 11월 26일 안산 문화예술의 전당 국제회의장 <하늘교육 설명회>

올해 국제중학교가 개교이래 가장 높은 경쟁률 17.91%을 기록했습니다.

국제중학교는 추첨제로 진행하고, 영어로 수업이 진행되는데도 불구하고 8,500여 명이 지원했어요.

이 숫자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SKY) 모집 인원과 비슷한 수준이며

의대 지원 인원 숫자보다 조금 많은 수준입니다.

국제중학교 3학년 1학기 과목별 A등급 비율

국어 74.0, 수학 63.3, 영어 76.6, 과학 70.4, 사회 82.0

전국 중학교 평균보다 약 40%대 차이가 납니다.

(국어 28.9, 수학 27.1, 영어 31.3, 과학 26.5, 사회 29.4)

국제중학교 졸업생 중 10명 중 7명은 특목자사고로 진학했습니다.

입시제도가 바뀌었지만 영재학교나 과학고등학교 지원자는 늘지도 않고 줄지도 않아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2월에 전국 단위 외고, 국제고, 자사고 원서 접수가 시작됐고

1월 초 기준으로 합격자 발표를 마친 상황입니다.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한 외국어 고등학교가 입시 설명회를 여는데

300석 정원이 1분 컷으로 예약이 마감됐다고 하네요.

아직도 특목 자사고에 대한 열기는 식지 않았습니다.

지방권에서 공부 좀 하는 학생들은 자사고에 지원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지역에 있는 의대에 [지역 인재 전형] 지원 기회가 주어진다는 상당히 큰 메리트가 있죠.

전국 지방권 의대는 전체 모집 정원의 60% 이상을 거의 의무적으로 지방 학생들만 뽑아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2024학년도 합격자 수 기준 의대 합격자 수 배출 상위 TOP10 고등학교

1. 상산고 (전북 전주시 소재 자사고)
2. 휘문고 (서울 강남구 소재 자사고)
3. 세화고 (서울 서초구 소재 자사고)
4. 중동고 (서울 강남구 소재 자사고)
5. 숙명여고 (서울 강남구 소재 일반고)
6. 강서고 (서울 양천구 소재 일반고)
단대부고 (서울 강남구 소재 일반고)
8. 현대청운고 (울산 동구 소재 자사고)
9. 경신고 (대구 수성구 소재 일반고)
10. 중산고 (서울 강남구 소재 일반고)


그동안 수많은 입시 정책을 펼쳤음에도 저 벽은 깨지 못했네요.

전국 어느 학교에 있더라도 3학년 1학기까지 내신 등급이 1.06이라면

시비 걸 일 없이 전국에서 100등 안에 든다고 보면 됩니다.

고등학교 수준을 논하는 게 의미가 없습니다.

내신 등급이 1.30등급이면 10명 중 9명이 의대나 약대를 진학했고요.


대한민국에서 공부 잘하는 학생들이 대체적으로 이런 선택을 한다는 걸 확인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설명회 후반부에서는 2028학년도 대입 개편안에 대해 이야기가 나왔는데

고1이라고 방심하다가는 <상대평가>의 함정에 빠져서

내신 성적이 탈탈 털릴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관심을 불러일으켰어요.


중학생이 가장 어려워하는 과목이 수학과학입니다.

그런데 본인이 쉽다고 생각하는 1~2과목만 하면 되는 게 아니라

통합사회, 통합과학 예상문제를 보면 두루두루 잘해야 점수를 잘 받을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특목자사고, 여전히 뜨겁다! 2024 의대 합격률 TOP10 고등학교 분석

교육부가 공개한 통합사회 예시 문항 공개 중 하나

특목자사고, 여전히 뜨겁다! 2024 의대 합격률 TOP10 고등학교 분석

교육부가 공개한 통합과학 예시 문항 공개 중 하나


2028학년도 수능 통합사회, 통합과학 예시 문항을 ↙이 곳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학생들뿐 아니라 학교 선생님들도 교육 과정이 많이 힘들어질 것 같습니다.

사교육을 줄이려는 노력이 사교육을 불러일으키는 상황은 여전한 게 안타깝네요.






댓글0